“정부 방역 당국의 부실한 조사 후 ‘몰아가기’ 행태는 기독교 교회에 대한 것이 더 심하다” 사실일까?

【2020년 10월 16일】
<자유일보>는 <사실 확인은 ‘대충’…무조건 광화문‧교회發 확진자로 ‘몰아’> 기사를 통해 “방역당국이 부실한 조사를 통해 기독교 종교에 대해 몰아가기 하고 있다”고 썼다.

방역 당국이 교회 관련 확진자와 광화문 집회 관련 확진자에 대해 부실한 조사를 하고 있다. 편집

인천시는 교회 관련 확진자와 광화문 집회 관련 확진자를 부실 조사 했는가? 편집

<자유일보>는 방역당국이 역학조사를 발표하며 교회 관련 확진자 수치를 유독 꼼꼼하게 나열했다며 “정치적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고 지적했다. 역학조사의 방식에 대해서도 문제 삼았다. 인천시가 "서구 소재 A교회의 경우 역학조사 과정에서 지난 24일 확진 판정을 받은 신도(인-572)가 8월 15일 광화문 집회에 참가했다가 지난 23일 확진된 환자(인-539)와 20일 접촉한 사실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한 것을 두고 "정부가 코로나 재확산 사태의 ‘원흉’으로 몰아가고 있는 광화문 집회에 관련된 언급도 잊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자유일보>가 말한 대로 인천시는 명확한 기준 없이 교회 관련 확진자를 역학조사 했을까?

기사에 언급된 보도자료는 인천시에서 26일 발생한 61명의 확진자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날 발생한 확진자 중 20명은 A교회 신도와 그의 가족이었다. A교회의 역학조사를 하며 24일 확진 판정을 받은 572번의 동선을 공개한 것. <자유일보>가 인천시의 역학조사를 비판한 이유는 572번 확진자의 말만 듣고 “539번 확진자와 572번 확진자가 접촉한 것으로 확인된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인천 서구보건소 역학조사팀 관계자는 9월 11일 전화 인터뷰에서 “역학조사는 한 번 발표되면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진행된다”며 “발표되더라도 지속해서 업데이트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역학조사를 할 때 양 쪽에 확인을 하는 과정은 필요하지만, 다른 쪽이 계속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한 쪽의 이야기를 통해 추정한다”면서 “이와 더불어 GPS 추적 등의 방식을 통해 동선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역학조사는 국민들에게 코로나19와 관련한 정보를 빠르고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발표한다. 따라서 질병관리본부는 항상 보도자료 하단에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수정 및 보완이 가능하다”는 문구를 넣는다. 정례브리핑 시에도 어느 시간 기준 결과인지에 대해 꼭 언급한다. 기준 시간에 따라 내용이 추가 혹은 변경이 될 수 있음을 매번 안내하고 있다. 따라서 인천시 사례에 대한 해당 기사의 주장은 대체로 사실이 아니다.


‘몰아가기’가 기독교 교회에 대한 것이 더 심하다. 편집

자유와인권연구소의 데이터는 정확한가? 편집

자유와인권연구소는 6월 8일~7월 8일 한 달간 발생한 ‘교회 관련 확진자’를 집계해 비율을 계산했다. 먼저 자유와인권연구소의 조사대로 “6월 8일~7월 8일 사이에 발생한 교회 관련 확진자가 전체 신규 확진자 대비 10.18%”인지 확인했다. 자유와인권연구소 측에 조사 결과를 파일 형태로 받아볼 수 있는지 묻자, “요청하신 자료가 캡처돼 게재된 뉴스 링크를 보내주겠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기사에 인용된 자료를 기준으로 연구소의 조사 결과를 검증했다.

따라서 같은 기간(6/8~7/8) 질본의 정례 브리핑 자료를 모두 살펴 교회 관련 확진자 수를 집계했다. 집계 기준은 질본에서 교회 ‘관련' 감염으로 분류한 기준을 따랐다. 따라서 2차 감염으로 분류된 교회 또는 교인은 제외했다.

직접 같은 기간 내 신규 확진자 대비 교회 확진자의 비율을 산출해보니 해당 연구소의 결과와 유사한 약 9.09%가 도출됐다. 따라서 자유와인권연구소의 조사 결과는 취재진의 조사와 기준이 달랐지만[4] “해당 연구소에서 의도적 혹은 악의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해당 기사는 통계수치를 적절히 인용했는가? 편집

자유와인권연구소에 연락해 조사 기간을 6월 초~7월 초 사이로 설정한 이유를 물었다. 관계자는 지난 10일 전화 인터뷰에서 “해당 조사는 7월 8일 정세균 총리가 ‘최근 교회로부터 감염된 확진자가 전체 확진자 대비 절반이 넘는다‘고 말한 것을 듣고 의구심이 생겨 시작했다”며 “정 총리의 발언 중 ‘최근’을 한 달로 임의 설정해 조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정세균 총리는 지난 7월 8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해당 발언을 했다.

해당 기사에서 문제 삼고 있는 방역 당국의 ‘몰아가기’ 대상은 두 개다. 하나는 ‘교회 관련 확진자 전체’고 다른 하나는 ‘8·15 광화문 집회 발 확진자’다. 기사의 제목인 <사실 확인은 ‘대충’…무조건 광화문‧교회發 확진자로 ‘몰아’>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기사 구성 역시 전반부에선 8.15 광화문 집회 이후의 상황에 대해 주로 서술하고, 중후반부에선 8.15 광화문 집회 이전인 지난 7월의 상황이 주를 이룬다. 문제 설정을 8.15 광화문 집회 이전에 발생한 교회 관련 확진자와 이후 ‘광화문 집회 발 확진자’로 나눴다.

해당 기사에서 문제 삼은 기간은 7월부터 8.15 광화문 집회 이후다. 그렇다면, “정부가 교회 관련 확진자와 광화문 집회 발 확진자를 몰아가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 역시 문제 삼은 기간과 호응해야 한다. 하지만 해당 기사는 8.15 광화문 집회가 벌어지기 전인 지난 6월 8일~7월 8일까지의 수치만 제시했다. 나머지 시기인 7월 9일 이후 교회 관련 확진자의 비율은 언급하지 않은 셈이다.

따라서 기사에서 인용한 데이터 외에 6월 9일부터 기사가 보도된 8월 28일까지의 질본 정례 브리핑 자료를 토대로 교회 관련 확진자 수와 8.15 광화문 집회 관련 확진자 수를 직접 확인했다.

자유와인권연구소가 조사한 6월 8일~7월 8일에 비해 7월 9일~8월 28일 사이 교회 관련 확진자가 급증했다.. 이는 8월 5일부터 시작된 사랑제일교회 관련 감염과 8.15 광화문 집회 관련 감염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해당 기사에선 교회 관련 확진자가 폭증한 시기인 7월 9일~8월 28일 사이의 통계를 포함하지 않았다. 따라서 해당 기사 속 “정부가 교회 관련 확진자와 광화문 집회 발 확진자를 몰아가고 있다”라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인용된 자유와인권연구소의 조사 결과는 절반만 유의미하다.

또한, 사랑제일교회 관련 감염이 시작된 8월 5일~8월 28일(<자유일보> 기사 발행일), 8.15 광화문 집회 이후 등 교회 관련 확진자가 폭증했을 때를 포함하지 않았다.

질본은 정례 브리핑에서 사랑제일교회 관련 감염과 서울 도심 집회 관련 감염을 구분해 표기한다. 따라서 도심 집회 관련 감염에 대한 수치를 포함하지 않은 해당 기사는 근거가 불충분하다. 이에 관해 묻기 위해 해당 기사를 작성한 기자와 <자유일보> 측에 여러 번 접촉을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기독교 교회만 몰아가는가? = “예배당 등 교회 내부에서 감염된 확진자가 아닌 경우도 ‘교회 관련 확진자’ 지칭한다” 편집

기사 속 표현인 ‘몰아간다’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예배당 등 교회 내부에서 감염된 확진자가 아닌 경우도 ‘교회 관련 확진자’로 지칭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감염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가 발견되면 수정 및 보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 작업이 ‘재분류 작업’이다. 질본은 2차 감염 3차 감염 등 n차 감염으로 이어지는 감염 모두를 하나의 범주인 1차 감염으로 묶어 분류한다. 즉, 역학 조사 과정에서 1차 감염지가 수정되면 확진자에 대한 분류 역시 바뀐다.

6월 8일부터 8월 28일까지 발표된 질본 정례 브리핑을 살펴본 결과 질본은 재분류 작업을 교회 관련 감염지에도 적용하고 있었다. 역학 조사 과정에서 본래 ‘교회 관련’으로 알려졌던 1차 감염지가 다른 곳이었다는 것이 밝혀지면 다시 이름을 붙이는 방식이다. 실제로 질본은 6월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대전 꿈꾸는교회 관련 확진자 15명 중 9명을 재분류했다’고 밝혔다. 9명의 확진자가 대전 갈마동에 있는 꿈꾸는 교회가 아닌 서울시 금천구에 있는 도정기 업체 관련 확진자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질본은 역학 조사 과정에서 교회 관련 확진자가 아니라는 것이 밝혀질 경우 수정 및 보완 작업을 해 오고 있었으므로 해당 문장은 대체로 사실이 아니다.


출처 편집

 
기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