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도로명주소 전면 시행
【2014년 1월 2일】
사회
관련 뉴스
- 2025년 2월 17일 (월): 대한민국 나로호, 또 다시 발사 연기되다
- 2025년 2월 17일 (월): 대한민국의 자영업자, ‘금연법의 부작용’을 우려하다
- 2025년 2월 17일 (월): 겨울 연탄 수급에 비상 걸려
- 2025년 2월 17일 (월): 전국 곳곳에 눈… 산성눈에 주의해야
- 2025년 2월 17일 (월): 푸틴 크림반도 합병 공식서명


대한민국에서 도로명주소가 2014년 1월 1일부로 전면 시행됐다. 시행 후 첫 평일인 오늘, 대한민국 곳곳에선 혼란이 빚어지는 모양새다.
일단 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택시·택배기사의 불편이 두드러지고 있다. 택시기사 김 모씨는 "예전에는 ○○동이라고 하면 감이 잡혔는데 도로명만 보고는 어렵다"며 내비에도 새주소가 없어 애를 먹는다고 했다. 택배기사 이 모씨는 "하루에 수백개를 운송하는데 일일히 검색하기는 힘든 데다 작은 골목길까지 주소를 다 외워야 하니 큰일"이라고 했다. 촌각을 다투는 소방관·경찰관의 불편은 더 크다. 소방방재본부는 아직 옛주소를 기반으로 신고를 받고 있고, 경찰들은 옛주소로 검색한 뒤 근처에서 새주소로 다시 검색하는 편법을 쓰고 있다.
내비게이션의 도로명주소 기능도 아직 불완전하다. 가장 빈번한 문제는 도로명주소로 검색했는데도 지번주소로 검색되는 것이다. 생긴 지 얼마 안 되는 신규 주소에 대한 업데이트도 느려 많은 불편이 예상된다.
현재 사용 중인 신분증을 도로명주소로 바꿀 필요는 없다. 재발급 시 도로명주소로 고쳐져 나오기 때문이다. 그 전에 바꾸려면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도로명주소 스티커를 신청해 부착하면 된다.
출처
- 김연숙·이슬기. “새 도로명주소 전면 사용…첫 업무일 곳곳서 혼란 (한국어)”, 《연합뉴스》, 2014년 1월 2일 작성. 2014년 1월 2일 확인
- 이지은. “"여기가 어디냐"…도로명주소 입력했더니 '내비 먹통' (한국어)”, 《아시아경제》, 2014년 1월 2일 작성. 2014년 1월 2일 확인
- 라동철. “도로명주소 주요 내용… 주민증·운전면허증 주소 즉시 바꿀 필요는 없어 (한국어)”, 《국민일보》, 2014년 1월 2일 작성. 2014년 1월 2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