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랜드 때문에 강원도민들이 피해를 입다
【2022년 9월 29일】
- 2024년 4월 2일 (화): 윤 대통령의 '2000 집착' 의혹에 대통령실 "의대 증원 2,000명은 절대적 수치 아냐"
- 2024년 3월 10일 (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3월 10일 호주로 출국
- 2023년 10월 21일 (토): 전국 곳곳에서 '럼피스킨병' 발병... 한우 농장까지 침투
- 2023년 9월 14일 (목): JTBC와 뉴스타파가 동시 압수수색 당하다
- 2023년 9월 11일 (월): 학생만화공모전 전시 일주일 앞두고 취소... '제 2의 윤석열차' 나올까 "검열" 논란 일기도
2022년 5월 5일 어린이날을 기념해 개장된 레고랜드가 여러가지 문제에 휩싸였다는 논란이 일었다. 그런데 이곳에는 문제가 한두가지가 있는 것이 아니었다. 레고랜드 코리아는 외국계 테마파크 중 하나인데, 이곳에서 불공정 계약 논란이 생긴 것이다. 건설한 부지를 100년 동안 외국 기업의 '무상 임대'를 하기로 한 것으로 드러났다.
레고랜드라는 놀이동산은 덴마크의 장난감 레고를 테마로 한 놀이공원이지만 정작 관광 요소라고 하기에는 글로벌적인 다른 놀이동산에 비해 영향력이나 경쟁력이 떨어지며 더욱이 연령층을 잘못 노린채로 설계했다는 지적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레고 장난감은 유아부터 시작하여 성인층에게까지 사랑받고 있는 장난감 브랜드이지만 여기서 가장 활발하게 소비하는 연령층은 저연령층이 아닌 오히려 장난감 매니아 성인층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레고랜드는 좋은 실적을 내지 못하면 오히려 파산 상태 진입할 수 있다는 경고를 받게 되었고 투자한 것들에 비해서 손해 보는 것이 매우 컸는데, 이 무게들을 강원도민들이 그대로 떠안게 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지나치게 유아 취향에 맞춰 만들어진 레고랜드는 그렇게 큰 인기를 끌지 못했고, 해당 놀이동산을 지키기 위해 거금을 빚지게 되었으나 고객들이 많이 오지 못하여 빚진 돈들은 전부 강원도민들이 갚게 되었다는 것이다. 더불어 유적지 훼손을 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레고랜드의 산적해있는 문제들
편집유적지 훼손
편집레고랜드가 세워진 부지에는 원래 중도 유적지가 존재 했었는데 이 유적지는 전 세계에서 고고학적으로도 굉장히 가치가 높았던 유적지였다. 2022년 8월 김해 구산동 지석묘 훼손 사건과 2022년 5월에 일어난 인천 장릉뷰 아파트 건설 사건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춘천시 중도는 청동기 시대 유물이 나온 지역이기도 하며, 철기 당시의 유물까지 발견되었고 고구려의 유물도 나온 지역이다. 더불어 당시 기술력이나 기록상으로도 거의 발견되지 못한 대도시급의 대규모 촌락이었다고 하는데, 도시인 것도 모자라 고조선 때부터 삼국시대까지 이어진 오래된 마을이 이 중도에 위치에 있었다고 한다.
이는 곧 현재로서는 존재 불분명하며 문화권이라는 개념으로만 남아있던 고조선의 존재를 확실시하게 만들 수 있을만한, 고고학적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는 것을 반증하는데, 이후에는 고고학계에서도 소개가 될 정도로 매우 학술적 가치가 높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불과 몇 십 년 전만 해도 고고학계에서는 한반도에는 어떠한 것도 없었기 때문에 신경 쓸 만한 유물이 없었다고 치부한 것을 반박할 수 있었던 열쇠였으며 한국이 중국 땅이었냐는 질문을 반박할 수 있는 증거를 스스로 내 버렸다는 것이다.
1977년부터 석기 시대 유물이 발굴됐고 1980년 이후 1996년까지 5회에 걸쳐 대규모 발굴 조사됐다. 1,612기의 선사시대 집터와 165기의 선사시대 무덤은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규모였다.
사람들은 이러한 현상을 보고 한국 사회가 물질만능주의에 심하게 물들여져 역사를 잊어버리기 시작했다는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으며 한국인들은 더이상 중국을 욕할 자격이 없고, "한국판 문화대혁명"이나 다름없다고 자조적인 비판을 하는 사람까지 생겼다. 더불어 2020년대부터 한국은 중국의 적극적인 동북공정으로 인해서 몸살을 앓고 있지만 이를 반박할 수 있는 강력한 증거들을 스스로 없애고 있는 꼴이다.
강원도민들이 안게 된 책임
편집강원도는 레고랜드 기반시설 조성을 위해 출자 기업을 만들었다. 중도개발공사라는 이름이 붙은 회사인데 이는 레고랜드가 의암호 중도에 들어서는 테마파크이기 때문이다.
테마파크 개발이 지연되면서 중도개발공사는 시작부터 심각한 경영난을 적게 되었다. 2023년 11월 만기되어 갚아야할 2천억원의 금융권 대출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한다. 문제는 중도개발공사가 자력으로 갚을 능력이 없어 지급보증을 선 강원도가 전액 세금으로 메꿔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회사가 책임지지 못한 일을 강원도민들의 책임으로 떠넘기는 것이다.
허나 강원도는 이전부터 진 빚이 너무 많이 있었는데 출자 기관으로는 사상 처음 중도개발공사에 대해 기업 회생 절차를 수행하기로 하였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회생절차에 들어 간다 하더라도 강원도가 보증채무 부담에서 자동으로 벗어나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말했다.
만약 강원도가 기업 회생 신청이 받아들여질 경우 법원에서 지정한 새로운 관리자를 통해 자산 매각에 나설 계획이라고 한다. 중도개발공사가 소유한 자산은 채권단의 반발 속에 법원이 기업 회생을 받아들일지, 받아들이더라도 제때 제값을 받고 자산 매각과 빚 청산이 가능할지는 의문인 상황이라고 한다.
레고랜드가 세워진 곳에서는 불공정 사업 구조와 부실경영 논란 속 출자기관 법원 회생 신청이라는 대책을 내놓은 자치단체 신용에도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한다. 이전부터 비리로 몸살을 앓았지만, 여러 사람들은 지금도 남아있는 비리와 같은 일들이 있는지 수사해달라는 청원을 올리기도 했다.
관련 기사
편집출처
편집- YTN. “"사상 처음 있는 일"...강원도, 상당한 타격 불가피 / YTN (ko)”, 《YTN 유튜브》, 2022년 9월 29일 작성. 2022년 9월 29일 확인
- 인세영. “귀중한 춘천 선사시대 유적지가 파괴되는 이유? (ko)”, 《파이낸셜투데이》, 2021년 4월 8일 작성. 2022년 9월 29일 확인
- 안승모. “중도유적(中島遺蹟) (ko)”,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8년 작성. 2022년 9월 29일 확인
- 배기동. “누렇게 헐벗은 한반도 최초 도시 유적...고고학자는 가슴을 쥐어짰다 (ko)”, 《한국일보》, 2021년 11월 6일 작성. 2022년 9월 29일 확인
- 김상훈. “레고랜드는 내년 개장, 중도 유적공원은? (ko)”, 《춘천MBC》, 2021년 10월 12일 작성. 2022년 9월 29일 확인
- 박상현. “춘천 중도 유적은 3천년 전 생활상 간직한 타임캡슐 (ko)”, 《연합뉴스》, 2017년 9월 14일 작성. 2022년 9월 29일 확인
- 이정은. “의혹과 논란으로 휩싸인 레고랜드 (ko)”, 《환경일보》, 2020년 10월 20일 작성. 2022년 9월 29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