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데믹, 세상을 병들게 하는 전염병
【2020년 6월 14일】
- 2024년 4월 2일 (화): 윤 대통령의 '2000 집착' 의혹에 대통령실 "의대 증원 2,000명은 절대적 수치 아냐"
- 2024년 3월 10일 (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3월 10일 호주로 출국
- 2023년 10월 21일 (토): 전국 곳곳에서 '럼피스킨병' 발병... 한우 농장까지 침투
- 2023년 9월 14일 (목): JTBC와 뉴스타파가 동시 압수수색 당하다
- 2023년 9월 11일 (월): 학생만화공모전 전시 일주일 앞두고 취소... '제 2의 윤석열차' 나올까 "검열" 논란 일기도
인포데믹(infodemic·정보전염병)은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pidemic)의 합성어다. 미 클린턴 정부 때 상무차관을 지낸 데이비드 로스코프가 2003년 5월 워싱턴 포스트에 기고한 글에서 처음 사용했다.
잘못된 정보가 전염병처럼 퍼져 위험을 초래하는 상황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다. 이런 부정확한 정보는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분별력을 상실하게 하여 오히려 전염병보다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1918년에서 1919년까지 창궐한 스페인 독감에도 소금물을 입에 뿌리면 독감에 걸리지 않는다는 잘못된 소문이 확산되었다.
-
소금 물 뿌리기 위해 텐트로 들어가는 병사들
-
입에 소금물을 뿌리는 장면
스페인 독감 이후 100년이 지난 지금, 성남에 있는 한 교회에서 코로나 19 예방을 위해 입에 소금물을 뿌리는 사건이 벌어졌다. 똑같은 인포데믹 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그 소금물 분무기로 인해 코로나 집단감염이라는 큰 피해를 입고 말았다.
최근에 그런 인포데믹으로 생긴 현상과 폐혜를 자주 볼 수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망설도 사회 혼란을 가중시킨 인포데믹의 일종이었다. 김정은이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 불참하자, 미국 언론 매체들은 김정은 사망설, 위중설을 보도했다. 그것을 국내 언론들이 집중적으로 퍼뜨렸고, 탈북자 출신 국회의원 태영호씨와 지성호씨가 김위원장 사망설이 확실하다고 자신하였다. 그러나, 김정은의 비료공장 시찰로 사건은 해프닝으로 종결되었다.
영국에서 한 간호사가 5G 기기가 인체 면역력을 약화시켜 코로나19를 확대시킨다는 취지로 발언을 하였고, 그 소식이 페이스북을 통해 퍼져 나갔으며, 격분한 사람들은 코로나와 아무 상관 없는 5G 기지국을 공격하고, 5G 노동자를 폭행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란에서는 700명이 넘는 이들이 메탄올이 코로나 19에 효과가 있다는 잘못된 정보를 듣고 메탄올을 마시거나 뿌리다 사망했다.
인포데믹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잘못된 판단에 의해서 생사를 가르는 잘못된 결정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가 제시하는 해결 방법은 세가지로 압축된다.
- 잘못된 소문의 진위 여부 확인 진행.
- 공신력 있는 기관이 잘못된 소문에 신속히 대응
- 밝혀진 팩트를 전파하기
같이 보기
편집- 이윤정. “이젠 개똥쑥까지…코로나 치료 ‘인포데믹’ 퍼뜨리는 지도자들 (한국어)”, 《경향신문》, 2020.05.06. 작성. 2020.06.14. 확인
- YTN. “또 하나의 재난 '인포데믹', 팩트체크로 막는다 …기초과학연구원 CI 차미영 교수 (한국어)”, 《YTN》, 2020.05.02. 작성. 2020.06.14. 확인
- 이슬기. “[줌인 코로나發 '인포데믹과 전쟁' 선포한 美 IT 기업들] (한국어)”, 《조선비즈》, 2020.05.12. 작성. 2020.06.14. 확인
출처
편집- 라동철. “[한마당] 인포데믹의 결정판 (한국어)”, 《국민일보》, 2020.05.04. 작성. 2020.06.14. 확인
- 편광현. “목사의 소금물, 무당의 도라지···'코로나 인포데믹' 난무 (한국어)”, 《중앙일보》, 2020.03.18. 작성. 2020.06.14. 확인
- 최율리아나. “코로나發 인포데믹에 전세계 5G 기지국 방화 확산 (한국어)”, 《데일리포스트》, 2020.06.12. 작성. 2020.06.14. 확인
- 조승환. “"인포데믹 탓에 백신 거부 운동까지 등장"…국가간 협력 필요할 만큼 '심각' (한국어)”, 《동아사이언스》, 2020.05.12. 작성. 2020.06.14. 확인
이 기사는 과거의 기사로 보존되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이 기사를 편집하지 마세요.
위키뉴스의 모든 기사는 해당 기사가 작성되고 발행된 특정 시점만을 반영하며, 발행 이후에 발생하거나 알려진 사건 또는 소식을 아우르지 않습니다.
위키뉴스에서는 기사 보존 정책에 따라, 보존된 기사의 내용을 바꾸거나 갱신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부 사소한 문법적 오류나 기사 구성의 수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